글로컬연합대학 Field 연합전공 안내
동아대학교 학사에 대한 관련규정을 안내합니다.
관련규정 바로가기글로컬연합대학 Field 연합전공 안내
우리 대학은 글로컬대학 사업에 선정됨에 따라 동아-동서 글로컬연합대학 Field 연합전공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1. Field 연합전공이란?
대학이 산업 현장(Field)으로 나아가 산업 안에서 사회요구·미래예측 기반 산업생태계 혁신을 통해 특화된 전문인력을 양성하는 전공
2. 연합전공 운영 현황
연합전공 | 모듈 | 참여학과 |
---|---|---|
수소에너지 | ① 수소에너지 소재 (공유대학 클린에너지전공 이수학생 대상) | 기계공학과, 신소재공학과, 화학공학과, 조선해양공학과, 미래에너지공학전공 |
② 수소에너지 부품 (공유대학 클린에너지전공 이수학생 대상) | ||
③ 친환경시스템 (공유대학 클린에너지전공 이수학생 대상) | ||
④ 수소 생산 및 활용 | ||
⑤ 수소 이송 및 저장 | ||
전력반도체 | ① 전력반도체 소자 공정 | 전자공학과, 반도체학과, 기계공학과, 신소재공학과, 전기공학과, 산업경영공학과 |
② 전력반도체 회로 설계 | ||
③ 전력반도체 응용시스템 | ||
첨단콘텐츠 | ① AI 콘텐츠 | 산업디자인학과,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관광경영학과, 경영정보학과, 경영학과, 국제무역학과, 컴퓨터공학과, AI학과, 패션디자인학과 |
② XR/실감형 콘텐츠 | ||
③ 서사 창작 | ||
④ 엔터테인먼트엔지니어링 | ||
융합디자인 | ① AI-UX디자인 | 조경학과, 미술학과, 산업디자인학과, 건축학과, 패션디자인학과 |
② AI디자인창업 | ||
③ 미래라이프스타일디자인 | ||
④ 무대의상디자인과 기술 | ||
휴먼메타케어 | ① 디지털헬스케어 | 건강관리학과, 식품영양학과, , 의약생명공학과, 바이오소재공학과, 응용생물공학과, 식품생명공학과, , 스마트그린자원학과, 바이오메디컬학과, 체육학과 |
② 첨단신약 | ||
③ 바이오푸드 | ||
④ 미래자원디자이닝 | ||
헤리티지콘텐츠 | ① 헤리티지 콘텐츠 | 한국어문학과, 사학전공, 고고미술사학전공, 건축학과, 패션디자인학과, 산업디자인학과,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조경학과, 미술학과 |
② 헤리티지 디지털아카이빙 | ||
③ 헤리티지 플래닝 |
휴먼메타케어, 헤리티지콘텐츠 전공은 2026년부터 모집 및 운영 예정(참여학과 변동될 수 있음)
수소에너지 연합전공 모듈 中 수소에너지 소재, 수소에너지 부품, 친환경시스템 모듈은 부산공유대학 클린에너지전공 이수학생만 신청 가능
3. 연합전공 신청
- 신청자격: 4학기 이상 이수한 재학생
모집 학기에 졸업예정자, 초과학기자인 경우 신청 불가
참여학과 소속이 아닌 경우에도 연합전공 신청 가능함
- 신청방법: 이수 희망하는 연합전공 모듈을 선택하여 신청
연합전공 신청방법을 구분, 일정, 내용으로 정보제공 구분 일정 내용 연합전공 신청
[연합전공 신청 매뉴얼 다운로드(PDF)]모집 기간에
학사공지 게시판
별도 공지□PC로 신청[신청 바로가기] □모바일로 신청[신청 바로가기] 연합전공 신청
모바일화면 QR코드 - 신청 시 유의사항
- 모듈 신청개수에는 제한이 없으므로 이수 희망하는 모듈 모두 신청 가능함
- 연합전공 간 모듈 교차 신청 가능(ex. 수소에너지 모듈 1개, 전력반도체 모듈 1개 신청 가능함)
- 결격사유에 해당하는 자 제외하고 모두 선발 예정
결격사유: 4학기 미만 이수자, 선발학기 졸업예정자, 초과학기자 등
- 첨단콘텐츠, 융합디자인 전공의 모듈은 동서대에서 진행하는 수업이 다수이므로 신청 시 참고 바람
4. 이수방법
- 이수유형별 이수학점: 선택한 연합전공·모듈에서 이수한 학점에 따라 아래와 같이 학위 또는 이수증 발급
이수유형별 이수학점을 분류, 이수학점, 학위취득(이수증 발급) 비고로 정보제공 분류 이수학점 학위취득(이수증 발급) 비고 마이크로 디그리
(MD/FD)9학점 이수증 발급 - 선택한 모듈에서 9학점 이수 시 이수증 발급
- FD는 신청 연합전공 내 Field 교과목 만으로 9학점 이수 시 이수증 발급
부전공 18학점 부전공 기재 - 선택한 연합전공 교과과정의 교과목 이수
- 연합전공 모듈을 신청한 학생 대상으로 복수전공·부전공 희망여부 조사 예정
- 복수·부전공을 희망할 시 하나의 연합전공을 선택해 복수·부전공을 이수할 수 있음
- 기존 복수·부전공, 융합전공 등의 이수자는 융합전공 복수·부전공은 신청불가
복수전공 36학점 복수학위 취득 ※ 공통 이수요건: Field 교과목(또는 Research 교과목) 1과목 이상 반드시 이수
- 연합전공 마이크로디그리(MD/FD) 이수관련
- MD는 신청모듈 단위로 이수여부를 판단하여 이수학점을 충족할 경우 모듈 단위의 이수증 발급
- 신청모듈에서 9학점 이수 / Field 교과목(또는 Research 교과목) 1과목 이상 반드시 이수
- Research 교과목을 1개 포함하여 이수할 경우 연구심화형 마이크로디그리 발급
- Research 교과목(연구학점제)은 연합전공에서 개설된 연구학점제만 인정됨
- FD는 신청전공 단위로 이수여부를 판단하여 이수학점을 충족할 경우 전공 단위의 이수증 발급
- 신청전공에서 Field교과목 만으로 9학점 이수
- 신청전공에서 Field교과목 만으로 9학점 이수
- MD는 신청모듈 단위로 이수여부를 판단하여 이수학점을 충족할 경우 모듈 단위의 이수증 발급
- 연합전공 복수전공/부전공 이수관련
- 교양 교과목: 학생의 졸업적용년도에 따라 지정된 교과목을 이수(☞ 학년도별 교과과정 안내 바로가기)
- 전공 교과목: 영역별 이수학점표에 따라 필요학점 이수
- 연합전공 교과목중 Field 교과목(또는 Research 교과목) 1과목 이상 반드시 이수
- 복수전공으로 이수하고자 할 경우 연합전공의 졸업논문 대체 실적도 충족하여야 함
복수전공 충족요건을 구분, 주전공(계), 주전공 전공필수, 주전공 전공선택 연합전공으로 정보제공 구분 주전공
(계)주전공 전공필수 주전공 전공선택 연합전공 기본 전공
마이크로모듈
이수완료 시복수전공
45 전필 전체
(학과별 상이)
45-전필
기본-9
36 부전공
66 전필 전체
(학과별 상이)
60-전필
해당없음
18 전공 마이크로모듈 이수완료 시, “기본-9”는 좌측의 기본학점에서 9학점을 추가 감면한다는 의미임
예를 들어, 주전공 전필이 18학점인 학과의 경우 전필 18학점+전선 27학점=45학점을 주전공에서 이수하여야 하나, 전공 마이크로모듈 이수완료 시 전선 27학점에서 9학점을 감면한 18학점만 이수하면 되므로 전필 18학점+전선 18학점=36학점을 이수하면 됨.
* 전공마이크로모듈과 연합전공 마이크로모듈은 별개임.
- 연합전공 교과목의 소속학과 전공선택 이수학점 인정
- 연합전공 마이크로디그리 이수학생의 전공선택 이수학점 인정: 기본적으로 자유선택으로 인정되며, 다음의 요건을 충족할 경우 모듈당 최대 9학점까지 소속 학과의 전공선택으로 인정 가능함
연합전공 교과목의 소속학과 전공선택 이수학점 인정을 구분, 인정요건, 비고로 정보제공 구분 인정요건 비고 참여학과 학생인 경우
- 신청한 모듈을 이수완료하여 마이크로디그리(MD) 취득
- 신청한 모듈에서 9학점 이수
- 신청한 모듈에서 Field 교과목(또는 Research 교과목)을 포함하여 9학점 이수
참여학과 아닌 학과의 학생인 경우
학과장 승인 필요
- 신청한 모듈을 이수완료하여 마이크로디그리(MD) 취득
- 연합전공 복수전공·부전공 이수학생의 전공선택 이수학점 인정: 기본적으로 복수전공·부전공 이수학점을 연합전공 교과목으로 충족해야 하기에 소속 학과의 전공선택으로 인정 불가
단, 연합전공 교과목이 소속 학과의 전공필수(전공기초)에 해당하는 경우 연합전공이 아닌 소속 학과의 이수구분으로 인정받아야 함
- 연합전공 마이크로디그리 이수학생의 전공선택 이수학점 인정: 기본적으로 자유선택으로 인정되며, 다음의 요건을 충족할 경우 모듈당 최대 9학점까지 소속 학과의 전공선택으로 인정 가능함
5. Field캠퍼스 및 Field 교과목 안내
- Field 캠퍼스: 대학과 지역 산업이 협력하여 현장 중심의 실무형 교육(Field 교과목)을 운영하는 공간
- 대학-산업-지역이 함께 성장하는 미래 교육 환경
- 부산 내 취업 기회 확대 및 청년 인재의 지역 정착 유도
- 신산업 육성 및 차세대 기술 연구로 글로벌 인재 양성
Field캠퍼스 유형
Field캠퍼스 유형을 분류별로 정보제공 On-Site Field 산업체, 연구소, 공공기관 등 교외 실제 현장에서 Field 교과목 운영 Univ. Field 산업 현장과 유사하게 조성된 교내 실험실, 랩, 센터 등에서 Field 교과목 운영 Pre-Field 산업생태계 조성 및 활성화 전 대학이 선제적으로 생태계 조성에 참여하여 Field 교과목 운영 Global Field 국외 기관 소속 Field JA 교원이 비대면 또는 혼합 방식으로 Field 교과목 운영 - Field 교과목: 연합전공과 연계된 실제 산업 Field(현장) 또는 이와 유사하게 구현된 Field 캠퍼스에서 운영되는 실무 중심 교과목
- 연합전공 이수를 위해 Field 교과목 반드시 1과목 이상 필수로 수강
- 신청한 연합전공에서 Field 교과목 9학점 이수 시 필드 디그리(FD) 별도로 발급
연합전공별 Field 교과목은 교과과정표에서 확인 바람
6. 연합전공 참여혜택
- 장학금 혜택
- 마이크로디그리·복수전공·부전공 이수 완료 시 장학금 지급
- Field관련 비교과 프로그램 참여 비용 지원
*각 교과목별 지원사항 별도안내 예정
- 마이크로디그리·복수전공·부전공 이수 완료 시 장학금 지급
- 해외 탐방 및 비교과 프로그램 참여 기회 제공
- 우수학생 해외 탐방 기회(글로벌 체험) 제공
- 합전공자를 위한 직무능력 강화 비교과 프로그램 제공
- 현장전문가 및 강사 초청 특강
- 국내 산업체 기업 탐방 프로그램
- 공모전 및 경진대회
- 실무교육 캠프
- 기타 프로그램
7. 기타 문의
글로컬대학추진단 교육혁신SO ☎ 051-200-5912~4학사관리과 ☎ 051-200-6122~4, 6093~5